STEW

지리의 손아귀

최근 미국 드라마 ‘바이킹스’를 보고 있다. 내용은, 바이킹족의 열악한 환경에서 탈피하기 위해, 바다를 건너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온화한 남쪽으로 세력을 넓혀가는 이야기이다.

그들은 지독히 추운 날씨와 바다와 함께 살아간다. 농사를 짓기에 부족한 환경으로 인해 자연스레 부족 간의 약탈의 역사가 이어지고, 바다와 함께한 세월은 능숙한 배 건조 기술을 갖게 한다. 그리고 어느 민족보다 강인한 전투 기술과 해양 능력을 바탕으로 유럽을 공포로 몰아넣는다.

이 책을 읽으며 드라마를 보아서 그런가, 드라마는 더욱 생동감 있었고, 지루할 수도 있었던 책 내용이 현실감과 상상력으로 내 관심을 사로잡았다. 또한, 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각종 상황이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너무나 강력한 그들

인간의 역사는 약육강식의 반복이었다. 때로는 공존과 평화의 깃발을 꽂을 때도 있었지만, 이 또한 더 많은 이익을 챙기기 위한 방법의 하나일 뿐이었다. 지리마다 강국은 지속해서 변했지만, 세계로 봤을 때는 유럽에서 미국으로, 지금은 중국으로 미미하게 이동 중이다.

책에서는 이들이 강국이 될 수밖에 없는 지리적 환경을 설득력 있게 말한다. 유럽은 농사짓기 좋은 땅과, 지리마다 연결된 강으로 인해 자연스러운 교역과 발전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그들이 마주한 강대국들과의 끊임없는 전쟁은 패권을 미국에 넘겨주게 된다. 미국은 풍부한 자원을 가진 독립된 대륙으로 인해 외부의 괴롭힘 없이 스스로 빠른 발전을 이루었고, 중국은 인해전술을 바탕으로 그 영향력을 빠르게 뻗쳐나가고 있다.

결국 세계는 강대국의 속삭임들을 통해 굴러간다. 그들의 생각 없는 펜질로 인한 국경 분리로 아프리카와 중동은 멈출 수 없는 분쟁의 역사를 이어가고, 우리나라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분단의 위험을 안은 채 눈치 게임을 이어나간다. 그리고 이제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싸움으로 인해 전 세계는 그들의 눈치를 보며, 그들의 날갯짓이 소용돌이로 돌아오는 것을 견디며 살아간다.

미국은 세계 단일 통화 달러를 기반으로 세계 자본을 좌지우지하며, 전 세계의 분쟁 상황에 직접 개입하며 세계 경찰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속된 피로감으로 인해 그 영향력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포탄보다 강력한 경제의 맛을 봤기 때문에, 개발도상국 위주를 대상으로 경제 속국을 만들어가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 두 강대국의 패권싸움은 결국 또 다른 세계대전을 만들 것 같다. 지구의 역사가 항상 그랬듯… 현재에 만족하는 국가는 없었던 듯… 러시아, 유럽, 일본, 인도 등 새로운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밑물 작업은 지금도 지속하고 있기에…

너무나 약한 그들

이 책의 하이라이트는 아프리카와 중동의 현실이었다. 저자가 한 말처럼, 특히 아프리카의 현실은 미디어에서도 중점을 두지 않는다. 한동안 신문을 읽으면서도 아프리카는 지엽적 분쟁 소식 외에는 외부 자본의 유입으로 경제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만 알고 있었다. 오히려 세계의 이목은 각종 테러로 인해 중동에 쏠려있다.

식민 시대와 세계대전의 소용돌이가 지나갔음에도, 이들이 식민지로부터 독립했음에도, 지리는 벗어났지만 아직 경제적으로는 속국에 속해있는 현실에, 세계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 대륙의 지리에 이런 비합리적인 경계선이 그어진 것은, 이로 인한 분쟁을 예상하고 일부러 조장한 것은 아닌가 하는. 이 대륙에는 강대국들이 필요로 하는 풍부한 자원이 있고, 강대국들이 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약국이 존재해야 하기에, 강대국이 또 다른 강대국을 견제하기 위한 지리적 속국이 필요하므로.

내 비약적인 상상일 뿐이지만,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지리의 역사를 보면 그런 섬뜩한 생각이 들게 한다.

중동의 모습은 내 짧은 시각에서는 아직 이해하기 힘들다. 아직도 미디어의 단골 소재인 수니파와 시아파. 종교의 차이로 인해 무자비한 학살과 테러가 아직도 비일비재한 그곳. 나는 무신론자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 종교가 순수하게 추구하는 모습과 현실의 모습이 너무 다르기에 종교에 대해서는 중립을 지키려 한다.

자연이 살아 있다면

자연이 살아 있다면? 자연은 인간을 어떻게 볼까? 추상적인 생각이지만 자연의 시각에서 생각해보니 참 재미있다. 자연을 극복하려 수천 년을 노력한 인간. 이제 자체적인 기술로 자연을 일부 극복할 수 있게 된 인간. 자연은 끊임없이 인간에게 꿈과 시련을 동시에 준다. 저자의 말처럼 지구 온난화로 인해 모습이 바뀌는 대륙과, 북극의 존재는 세계에 또 다른 패러다임을 선사할 것이다.

한줄평

인간 역사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통찰할 수 있게 해주는 지리의 힘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