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STEW

결국 우리의 삶과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 507page

이 책을 처음 접했던 것은 5-6년 전이다. 당시 참여 중이던 독서모임의 발제도서였고, 항상 그래왔듯 다소 억지로 읽어냈던 기억이 남아있다. 그때 처음 책을 구입하면서 ‘밀란 쿤데라’라는 작가도 알게 되었고, 무엇보다 아직까지도 가끔 헷갈리는, 그 당시의 최대 궁금증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일까?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일까?

말장난일지도 모르지만, 책의 내용에 비춰봤을 때 어느 하나라고 단정 짓지 않아도 무방하지 않나싶다. 만약 작가가 의도한 부분이라면 그때 이미 천재의 반열에 올라선 것이 틀림없다. 그 당시에는 독서량도 지금처럼 안정적이지 않았고, 무엇보다 책을 읽는 거 자체가 곤욕이었기 때문에 어떤 책이든 읽기 어려웠던 터라 크게 개의치 않았다. 모임 날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좋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책 자체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테레자, 토마시 등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전반적으로 하면서 결국에는 우리의 삶과 사랑으로 대화가 흘러갔던 것 같다. 그리고 밀란 쿤데라의 <무의미의 축제>까지 읽은 것을 보면 그 당시에 나는 분명 어떠한 지적호기심이나 흥미를 느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이번 지정도서로 결정되고, 오랜만에 낡은 책장에서 이 책을 꺼내서 첫 장을 넘겼을 때 스쳐 지나간 그때의 감상을 다소 과격하게 표현하자면,

‘스스로를 상처 많고 여린 사람이라고 평가하는, 이기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자존감 낮은 피해망상자들의 삶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

였다. 아마 5년 전의 나는 지금보다 좁은 시야와 단호한 자기주장을 가지고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아, 물론 그렇다고 해서 지금의 나는 이 책이 재미있었다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다. 사실 1년의 1권의 책을 읽을까말까 하다가 우연을 계기로 독서를 습관화하면서 매년 꾸준하게 어느 정도의 독서량을 유지하게 된 후에는 소설, 수필, 고전문학을 잘 읽지 않게 되었다. 스스로 판단하건데, 정독보다는 속독을 추구하고, 옛날 문체가 잘 읽지 않는 나에게 이런 책들은 젬병이었고, 그것은 내공의 부족이고 내가 ‘멋’을 모르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나에게 ‘독서’는 즐거움이나 취미생활보다는 ‘지적호기심’을 채우는 수단이고, 공부의 일환이다. 그렇기 때문에 읽는 도서의 대부분은 경제경영, 인문사회, 창업투자 혹은 재테크 카테고리에 속해 있으며, 최신트렌드를 따라가기 위해 베스트셀러를 탐닉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잠시 머리를 쉬어가는 여정이자, 보다 흥미로운 책이기를 바랬다. 물론 두 번째 독서였지만, 그래서 더 재미없었던 것 같다. 오죽하면, 이 책을 펼쳐놓고 다른 책을 읽었을까.

인류가 사랑한 작가와 세계가 인정하는 고전문학을 비판하고자 함이 아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작가의 특유의 문체와 현대의 드라마 같은 사건구조로 우리의 삶과 ‘사랑’에 대해 담담하게 풀어낸 글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삶은 아름답지만은 않으며, 사랑은 유치하다. 그래서 이 책의 이야기들은 불편하면서도 유치하다.

이 책을 다시 읽으면서 흠칫 놀라면서도 흥미로웠던 부분은 책에 메모들이 되어있었다는 점이다. 그 당시에 나는 책에 생각을 정리하거나, 혼자만의 질문들을 적어놓곤 했는데 지금 보니 웃기기도 하고 무엇보다 이 책을 읽을 당시에 연애를 하고 있었다. 그래서 ‘토마시’를 ‘테레자’를 대입하면서 읽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주인공들의 상황과 생각을 공감하거나 이해하려고 한 노력들이 엿보이며 동시에 치를 떠는 부분들도 보인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이러쿵저러쿵해도 나의 그때의 연애와 그이후의 연애사에 영향을 미쳤음이 틀림없다.

얼마 전 팟캐스트를 듣다가, 스타트업과 흥미로운 아이디어제품을 소개하는 코너에서 자신의 운동기록을 피드할 수 있는 스마트헬스케어제품에 대해 진행자가 인간의 돈과 시간은 대부분 ‘타인에게 인정을 받기 위해 쓰이는 것’같다고 이야기했는데, 그 말에 크게 공감하는 바이며, 그런 점에서 ‘나를 사랑해?’ ‘얼마나 사랑해?’와 같은 질문이나, ‘내가 하반신불구가 되어도 내 옆에서 변함없이 사랑할거야?’라거나 ‘재벌3세 미녀가 대시를 해도 흔들리지 않을거야?’와 같은 질문은 필시 질문 그자체로 의미가 있다기보다 상대방에 대한 인정욕구가 표출된 것임에 틀림없다. 다만, 내가 그런 질문을 너무 공대생적인 마인드로 대처했기 때문에 사소한 언쟁과 다툼이 있었고, 아직도 그 부분에 있어서는 ‘선한 거짓말’ 따위 존재하지 않는다고 굳게 믿고 있다. 이 책에서도 그런 욕구가 표출된 장면들이 여럿 있었는데, 결국은 같은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함이 아니었을까, 그리고 그러한 욕구들은 결국 진화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생존’을 위해 사회적인 동물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우리가 만들어낸 집념일까?

진화심리학에는 ‘자살’을
번식과 진화의 경쟁에서 밀려나고 도태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의 표출로 보는 ‘견해’가 존재하는데, 그래서
우리는 끊임없이 경쟁하고, 인정받으려는 것이 아닐까.

테레자는 끊임없이 토마시의 진실한 사랑을 갈구하면서 확인받고 싶어하고, 토마시는 그런 테레자를 부담스러워하고, 버거워하면서도 끊임없이 갈망하고 그녀에게 되돌아간다. 전반적으로 여자가 남자의 사랑을 바라는 수동적인 존재이면서, 남자는 여자를 보호하고 보살피지만 상대방에게서 모성애적인 사랑을 바라는 것처럼.. (마치 남자는배 여자는항구?와 같이) 묘사되었다고 느꼈는데 그러한 시각이 불편하면서도, 시대적 상황과 주인공의 특색을 고려한다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이 책을 또 한 번 읽으면서 든 확인한 생각은 인연, 운명적인 사랑은 있지만 노력을 통해서도 인연을 만들 수 있다는 점과 우리는 매력적인 사람이고 싶어 하고, 상대방에게서 나의 존재와 위치를 끊임없이 확인하고 싶어 하면서 어느 정도 ‘사랑’을 필요로 한다는 점 그리고,

‘결국 자존감과 자기이해도가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게 된다는 점’

– 인상깊은 글귀 –

‘자신이 사는 곳을 떠나고자 하는 자는 행복하지 않은 사람이다.’

‘그런데 돌이켜보니 이미 추억이 된 그시점이 당시에 느꼈던 것보다 훨씬 아름답게 느껴졌다.’

‘오로지 가장 유치한 질문만이 진정 심각한 질문이다. 그것은 대답 없는 질문이다.’

‘대답 없는 질문들이란 바로, 인간 가능성의 한계를 표시하고 우리 존재에 경계선을 긋는 행위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