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W

[서평] 음식은 넘쳐나고, 인간은 배고프다

먼저, 저자 바츨라프 스밀의 문장은 내 취향이 아님을 밝힌다. 지난 도서 <숫자는 어떻게 진실을 말하는가>는 맥락 없는 잡지 글의 묶음이라 실망이었는데, 이 책은 한마디로 피로했다.

도서 <음식은 넘쳐나고, 인간은 배고프다>는 저자가 식량 문제에 관한 온갖 데이터를 가져와 정리했는데, 일상에서 접하지 않는 헥타르 등의 단위부터 사하라사막 아래 아프리카 등 생각지 않은 주제를 던졌다. 그리고 역시 숫자를 과하게 가져왔는데, 이게 상당히 피로했다.

숫자 자체도 피로한데, 평소 생각 자체를 안 했던 분야라니. 이런식으로 독자를 불편하게 하며 화두를 던지는 스타일인 거 같은데, 내 취향이 아니다.

식량 문제

식량 문제는 학창시절부터 늘 떠나지 않던 주제다. 그리고 늘 재미 없던 주제다. 그럴 것이 우리 세대는 식량에 관한 어려움이 크게 없던 시기다. 가끔 래퍼들이 라면만 먹으며 일했다고 하는데, 그게 가사가 될 정도니 정말 일반적이지 않은 일인 것이다. 여전히 굶어 죽는 사람이 우리나라에도 있다며 뉴스에 나오지만, 역시 희귀한 상황이니 뉴스에 나오는 거라 생각한다. 당연히 사회적 문제로 해결돼야 하겠지만, 정말 극소수의 문제를 다루기엔 우리의 시간이 너무도 짧다.

가끔 비건을 만나곤 한다. 올해 만났던 사람 중 ‘저 비건이에요’라고 말하기에 딱히 대꾸할 말이 없어 가만히 있었다. 함께 있던 사람 중 한 명이 ‘어떤 비건이에요?’를 물었고 직접적으로 고기를 먹지 않는 무슨 비건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와, 비건이라고 했을 때 왜 비건이냐고 묻지 않은 게 정말 오랜만이에요. 너무 좋아요’라고 하더라. 일반적이지 않은 케이스를 말하면 왜 그러느냐고 묻는 게 관심의 표현 아닌가? 이어진 말에 다시 한번 다짐했다. 비건이라 말하는 사람에게 대꾸하지 않는 게 낫겠다고.

저자의 마지막 문장 중 이런 표현이 있다.

대규모 충돌과 유례없는 사회 붕괴가 일어나지 않는 한 세계는 21세기 중반 이후까지 늘어나는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사실 나는 식량 문제는 이 문장이 우리 세대가 갖는 관심도를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1세기 중반 이후라면 2060~2070년 정도를 말할 것 같은데, 앞으로 40~50년 뒤라면 이미 대부분의 사회인이 사회 생활을 은퇴했을 무렵이다. 40~50년이라면, 우리나라 정치인에게 주어지는 1회 정치 임기의 10배다. 때문에 관심이 없을 수 밖에 없는거다.

또한, 시간의 흐름을 떠나서 현재 이 문제를 풀어야 할 성인들에게 여유가 너무 없다. 당장 풀어야 할 과제가 너무도 많은데, 자신의 은퇴 후 문제를 지금부터 논의하자고 하면 어느 누가 적극적으로 달려 들겠는가?

문제를 풀어야 할 세대에게 시기도 적절하지 않고, 여유도 없는 상황이다. 이런 사람들에게는 그저 급진적인 이념으로 다가온다. 직접적인 육류를 소비하지 않자는 비건부터, 미량의 육류도 포함돼선 안 된다는 극단적인 비건까지. 이들의 이념에 피로를 느끼고 있는 상황에 온갖 숫자를 들이대는 건, 억지로 ‘넌 이해를 해야만 해!’라고 들린다.

저자의 경제 관념

5장의 주제는 ‘더 중요한 것: 식량일까, 스마트폰일까’이다. 나는 이 챕터를 보면서 저자가 현실 감각이 너무도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이어지는 내용에는 이런 문장도 있다.

이전 책들에서도 언급했지만, 나는 비관주의자도 낙관주의자도 아니다. 나는 과학자다.

저자 바츨라프 스밀은 자연 과학을 전공하고 지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리고는 여러 연구를 하며 책을 쓰는 작가다.

당연히 식량과 스마트폰 중 일부가 사라졌을 때 인류에게 더 큰 충격을 주는 건 식량이겠다. 식량은 목숨과 직접적인 연관이 돼 있으니까. 하지만 스마트폰이 일부 사라지면 목숨과 연관이 있는 사람이 없을까? 심지어 식량과 금융 산업의 중요성을 비교하기도 한다. 금융 산업보다 식량 산업이 저평가됐다는 거다. 식량 산업에 관한 중요성을 말하고 싶은 것 같은데, 단순 GDP를 가져와서는 식량과 금융 산업을 비교한 부분에서 상당한 불편함을 느꼈다.

GDP는 돈이 아닌가? 돈은 사람들이 가치를 느끼는 곳에 지불한다. 단순히 식량과 스마트폰이 일부 사라졌을 때를 비교하는 건 무의미한 가설이라 생각된다. 그런 식이라면 댐의 둑이 일부 터진다던가, 고속 열차의 전력이 갑자기 일부 사라진다던가 하는 등의 가설이 더 극단적 아닌가?

식량의 중요성을 말하고 싶었겠지만, 맥락상 이해가 가지 않는 챕터였다.

결국 개인의 역할은 미미하다

저자는 빌게이츠가 좋아하는 작가라고 한다. 이 책도 빌게이츠의 권유로 썼다고 하는데, 나는 이런 류 책에서 감명을 받은 건 빌게이츠가 쓴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이다. 이 책에서는 숫자를 가져오되 정말 기후재앙을 피하려면 인류가 개선해야 하는 걸 명확히 말한다.

온실가스 배출량 중 각각의 인간 행위가 차지하는 비중 ▲무언가를 만드는 것(시멘트, 철 플라스틱) 31% ▲전기(전력생산) 27% ▲무언가를 기르는 것(식물, 동물) 19% ▲어딘가로 이동하는 것(비행기, 트럭, 화물선) 16% ▲따뜻하고 시원하게 하는 것(냉난방 시설, 냉장고) 7%
– <빌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중에서.

[서평]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

플라스틱 빨대를 사용하지 말라던가, 텀블러를 사용하라던가. 이런 정치적이고 감정적인 메시지가 아닌, 시멘트 31%, 전기 27% 등 전체 시스템을 짚는다. 시스템을 바꿔야 개선된다는 거다. 개인이 종이 빨대를 쓰는 게 아니라.

또 이런 말도 썼다.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2050년까지 제로 달성’은 비슷하게 들리지만, 굉장히 다르다.

잘못된 방식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면 자칫 2050년까지 제로 달성을 못 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해야 할 일들은 2050년까지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해야 할 이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만약 목표가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이라면 우리는 이 목표를 위한 수단에만 집중할 것이다. 설령 이런 방식이 제로달성이라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더 어렵게 하거나, 아니면 불가능하게 만들어도 말이다.

‘2050년까지 제로 달성’이 목표라면 석탄화력발전소를 가스화력발전소로 대체하는 데 돈과 시간을 투자하지 않게 된다. 대신 우리는 투 트랙 전략을 구사하게 될 것이다. 투 트랙 전략이란 첫째로 제로 탄소 전기를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데 ‘올인’하고, 둘째로 화석연료에 의존적인 지역을 포함해 자동차부터 열펌프에 이르기까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기화하는 전략이다.

‘2030년 감축파’가 보기에 2030년까지 감축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위 방식은 실패가 될 것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성공으로 가는 길이다.
– <빌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중에서.

결정적으로 빌게이츠는 이런 말을 했다.

나는 엔지니어이지 정치학자가 아니다.
– <빌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중에서.

반면 스밀은 스스로 과학자라 했는데, 과학자보다는 연구자가 맞겠다. 실제 과학 실험을 하며 과학을 진보시키는 게 아니라,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를 하고 있지 않은가? 설령 과학자라 한다면, 과학을 해야지 왜 이런 불편하게 만드는 책을 쓰는지 모르겠다.

또한, 불편하게 만들었으면 어떤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데, 제시한다는 게 ▲고기 덜 먹기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따위다.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 피곤할 정도의 숫자로 제시했을 뿐, 결국 스스로가 만들어낸 대안은 없다. 그리고 그 대안을 위해 스스로 진행하는 일도 딱히 없는 것 같다.

빌게이츠는 정말 바츨라스 스밀을 좋아하는 게 맞는 걸까?

마무리

내용은 피로했고, 해법은 없었다. 옮긴이는 저자가 방대한 통계를 모아서 요약했다고 하는데, 그게 그렇게 대단한 일인가 싶다. 앞으로는 챗GPT가 훨씬 더 잘할텐데 말이다. 솔직히 뭐가 대단한지 싶다.

역시나 앞선 책처럼 저자는 스스로가 하려는 말이 없다. 이 방대한 데이터를 모은 이유는 무엇인가? 단순히 연구 거리가 될 것 같아서? 책을 내면 읽을 독자가 많을 것 같아서? 이렇게 학계에서 움직이는 게 자신의 역할이라서?

에너지, 환경, 식량, 인구, 경제, 역사, 정책 등 광범위한 분야를 연구한 게 자랑인듯 저자 소개에 넣어뒀는데, 이 광범위한 분야를 개인이 연구하는 게 가능한 일인가? 그러니 깊이가 없지.

한줄평

인상 깊은 문구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