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W
  • Home
  • About
  • 독서 발제문
  • Login
No Result
View All Result
STEW
  • Home
  • About
  • 독서 발제문
  • Login
No Result
View All Result
STEW
No Result
View All Result
Home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인생은 모순이다

김나영 by 김나영
2020-08-31
in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0
인생은 모순이다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밀란 쿤데라

사실 이런 고전소설을 읽어본 게 얼마만인지 모르겠다. 이번 달 지정도서로 이 책이 정해졌을 때, 오히려 책의 두께보다 이런 류의 책을 읽게 된 신선함에 더 매력을 느낀 것 같다. 사실 책의 1/3 가량 읽을 때 쯤…. ‘그냥 아무 생각없이 읽어도 되는 고전소설이 맞나?’ 이런 생각을 했다. 조금은 불쾌하고, 내 머릿속으로는 이해 안되는 행동들이 꽤 있었다. 토마시의 강압적이고 명령적인 태도, 사비나와 테레자의 관계, 프란츠의  전부인에 대한 태도… 많은 사람들에게 인생 책이라고 꼽히는 책이었지만 내가 이해하기는 아직 조금은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그래도 책을 읽으며 인상깊었던 부분들에 대해 몇 자 적어보려 한다.

진리 속에 산다는 것이 무엇일까? 

사비나에게 있어 진리 속에서 산다거나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거짓말을 하지 않는 다는 것은 군중 없이 산다는 조건에서만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늘 우리는 군중, 대중 속에서 우리를 관찰하는 눈에 자신을 맞추며 살아가고 있다. 즉, 군중이 있다는 것, 군중을 염두에 둔다는 것은 거짓 속에 사는 것이라고 사비나는 생각한다. 

Related Post

지금 이 순간을 살라!

지금 이 순간을 살라!

2023-11-19
사회주의 이상론자의 욕심

사회주의 이상론자의 욕심

2023-11-18

자극의 홍수에서 살아남기

2023-10-25

나도 조금은 즐기고 싶다

2023-10-14

프란츠에게 있어서 ‘진리 속에서 살기’란 사적인 것과 공개적인 것 사이에 있는 장벽을 제거하는 것을 뜻했다. 개인적인 삶 속에서의 모습과 공적인 삶 속에서의 모습은 별개이며, 자신의 인생에 이를 깨는 행위는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는지 모른다. 그러나 “그의 부인이 사비나에게 “목걸이가 흉측하네요!”라고 말하는 것을 듣고, 그는 계속해서 거짓 속에서 사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부분을 통해 더 이상 그는 가만히 있을 수 만은 없었을 것이다.

이 모습을 보면서 그의 부인에게 대놓고 상처를 주는 모습이 보기 좋지는 않았지만 개인적인 그의 심정은 홀가분 이었을 것이다. 이후 프란츠는 사비나와 함께 하기 위해, 그의 부인과 이별을 했지만, 결국 사비나는 그를 선택하지 않았다. 여기서 사비나는 그동안 그녀를 짓눌렀던 감정들이 존재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 삶의 가벼움과 무거움 사이에서 벗어나고자 한 것이 아니었을까 한다. 

인생을 단순히 이분법으로 나눌 수는 없을 것이다. 무엇이 좋은 것인지, 무엇이 나쁜 것인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물론 정답도 없다. 하지만 단 한 번 뿐인 인생은 가벼움과 무거움이라는 모순 속에 있기에 인생을 너무 무겁게만 대할 필요도 없는 듯 하다.

책을 읽으면서 사실 사랑이라는 관점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어나갈 수 있었던 것은 사람마다 각자의 사랑 방식이 있고, 각자가 살아가는 인생이 다르다는 것은 결코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책 속에서 토머시, 테레자, 사비나, 프란츠 주인공들이 삶의 많은 변화를 통해 각자가 깨닫는 바가 다르 듯, 나 역시도 인생의 변화 속에서 수많은 변화들을 인정하고 존중하고 선택하면서 살아가야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한줄평: 연애세포가 살아날까 하는 부푼 마음으로 책을 읽었으나, 나에게는 심오하고 또 심오했다.

평점: ★★☆☆☆

Tags: 서평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김나영

김나영

Related Posts

지금 이 순간을 살라!
소유냐 존재냐

지금 이 순간을 살라!

by 김 예담
2023-11-19
사회주의 이상론자의 욕심
소유냐 존재냐

사회주의 이상론자의 욕심

by 오세용
2023-11-18
자극의 홍수에서 살아남기
도파민네이션

자극의 홍수에서 살아남기

by 김 예담
2023-10-25
Next Post
선택의 기로

선택의 기로

Please login to join discussion

Recommended

[서평] 완벽에 대한 반론 ★★★★☆

2019-10-31

[서평]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The NEXT ★★☆☆☆

2019-02-28
[발제문] 소유냐 존재냐

[발제문] 소유냐 존재냐

2023-11-13

[발제문] 도파민네이션

2023-10-12

[발제문] 무의미의 축제

2023-12-10
지금 이 순간을 살라!

지금 이 순간을 살라!

2023-11-19
사회주의 이상론자의 욕심

사회주의 이상론자의 욕심

2023-11-18
존재 찾아 삼만리

존재 찾아 삼만리

2023-11-27
STEW

STEW, 따뜻한 커뮤니티

따뜻한 커뮤니티 STEW입니다.
다양한 청년이 모여 함께 공부합니다.

최신 글

  • [발제문] 무의미의 축제
  • 지금 이 순간을 살라!
  • 사회주의 이상론자의 욕심
  • 존재 찾아 삼만리
  • [발제문] 소유냐 존재냐

Categories

© 2011-2023 STEW, 따뜻한 커뮤니티

No Result
View All Result
  • Home
  • About
  • 독서 발제문
  • Login

© 2011-2023 STEW, 따뜻한 커뮤니티

Go to mobile version